
서울대학교병원 심혈관연구실
CARDIOVASCULAR STEM CELL LABORATORY
Since 1994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심혈관연구실
보건복지부지정 서울대학교병원 선도형 세포치료사업단
교과부지정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선도형 줄기세포 연구실
Strategic Center of CBT (Cell & Bio Therapy) for Heart, Diabetes & Cancer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과 [MMBS 학과]
서울대학교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대학교병원 협동과정 줄기세포생물학과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심혈관센터
Research interest : Ischemic heart Disease, Stem cell Biology, Cardiovascular Gene and Cell Therapy, Atherosclerosis and Vascular Biology
연구분야 : 허혈성 심질환, 줄기세포생물학, 심혈관 유전자 및 세포치료학, 동맥경화 및 혈관생물학
본 연구팀은 심혈관 질환을 타겟으로 줄기세포 niche 연구를 통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음. 심근 전구세포 및 심장줄기세포의 마커 (marker) 발굴을 목표로 하며, 새로운 심장 niche 조절인자로서 기능분석 및 역할 규명하여 세포치료에 최적화하고자 함. 미분화 배아/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로의 분화 과정에서 새롭게 발굴한 마커를 이용한 순도 높은 분화 프로토콜 개발하고자 하며, 발생 과정에서 심장 niche 조절인자의 기능을 확인하여 심장 유전 질환 치료법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
줄기세포 niche 를 이용한 많은 분화 마커가 발굴되었지만, 발굴된 마커들을 이용하여 FACS 란 실험 기법을 사용하여 심근 세포만을 분류해 내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많은 세포들은 손상을 입음. 하지만 본 연구진이 새롭게 발굴한 새로운 마커는 다른 표지자와 차별화된 단백질입니다. 본 단백질은 수용체로서 잘 알려져 있는 리간드 (Ligand) 와 안타고니스트 (Antagonist) 가 존재하며 위 리간드와 안타고니스트를 이용하여 심근 세포 분화 효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며, 나아가 심장 질환에 본 리간드와 안타고니스트만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cell-free cell therapy 라는 개념을 이끌어 내고자 함. 따라서 본 연구진은 심장 niche 조절인자의 리간드와 안타고니스트를 이용한 분화 효율 극대화, 심장 질환 치료법 개발과 세계 최초 심장 niche 조절 동물모델 개발에 힘쓰고 있음.